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노미이론2

청소년 및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4_주요이론 2장. 청소년 문제행동 이론2. 청소년 문제행동 관련 이론3) 사회구조적 이론 사회구조의 문제에 의해 문제행동이 나타난다는 사회구조적 이론은 뒤르켐(Durkheim, 1950)이 주장한 아노미 이론으로 대표된다. 아노미란 사회가 산업화하면서 구성원 간의 사회적 결속이 약화되고,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며, 사회의 규칙이 붕괴하는 무규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아노미 상태에서는 사회 규칙 및 행동규범이 약화되거나 부재하기 때문에 개인은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이 없게 되며,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다. 머턴(Merton, 1957)은 아노미 이론을 체계화시켰다.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즉, 사회가 추구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수단과의 괴리에서 나타난.. 2025. 6. 22.
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외현화 문제_Ⅰ 1. 비행1) 특성과 실태 비행은 절도, 강도, 폭력, 기물파손, 약물 사용과 같이 ⌜형법⌟ 에 의해 금지된 행동을 말한다. 비행은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일련의 반사회적 행동에 붙여지는 법적인 개념이다. 청소년 비행에는 지위 비행이 포함되는데, 지위 비행이란 성인이 했을 때는 범죄로 규정되지 않으나 청소년에게만 불법인 행위를 말하는데 그 예로 무단결석이나 부도덕한 사람과의 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청소년 비행을 다루는 방식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형벌보다는 교육에 중점을 두는 공통점이 있다.  ⌜소년법⌟ 에서 비행 청소년을 분류하는 기준을 보면, 개입이 필요한 소년범은 우범소년, 촉법소년, 범죄소년으로 구분된다. 첫째, 우범소년은 10세 이상 19세 미만인 자로 보호자의 정당한 감독에 불복종, 가.. 2024. 10. 29.